BUSINESS INTRODUCTION
굿하모니는 기독교 구호개발 NGO로서 국내외 구호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 자료실
    엔지오와 비영리단체 마종열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25-08-17 조회수 : 12

    시민사회란(civil society)는 자발적인 공공 및 사회 조직과 기관의 총체를 일컫는 말로서 사회에서 국가 및 시장과 구별되는 영역이다. 시민 사회는 정부와 기업과는 사회의

    "3의 부문"으로 이해 될 수 있다. 정부로부터 독립된 개인과 조직의 의미로 사용 한다. 시민사회는 공유된 이해, 목적, 가치를 둘러싼 강제되지 않은 집합 행동의 장을 이른다.

    NGO(non-goverment organization)의 정부나 영리 목적과 무관하게 공익을 위해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를 의미한다. 사전적 의미는 정부 간의 협정이 아닌 민간단체가 중심이 되어 만들어진 비영리정부(非政府) 국제 조직'이다. 1945UN설립되면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영어를 그대로 해석하면 '비정부기구' 또는 '비정부단체' 정도로 번역할 수 있지만 대부분 'NGO(엔지오)'라는 영어 약자 그대로 사용한다.
     
    여기서 NGO는 국제적 조직을 가진 단체만을 일컬을 때 사용했다. 또한 'NPO(Non-Profit Organizationㆍ비영리단체)'CBO(community based organization)'라는 단어도 국제사회에서는 구분하여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위에 언급된 용어가 일반적으로 구분 없이 'NGO'라고 불린다.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말 국회를 통과해 20004월부터 시행중인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의 재정을 계기로 '비영리민간단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쓰이고 있다.

    정부의 비영리민간단체지원법에 따르면 다음의 6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사업의 수혜자가 불특정 다수일 것, ② 구성원 상호 간에 이익을 분배하지 않을 것, ③ 특정정당 또는 선출직 후보에 대한지지나 지원이 또는 특정종교 행위를 금하고 있다. 상시 회원 수가 1백인 이상일 것, ⑤ 최근 1년 동안 공익활동의 실적이 있을 것, ⑥ 법인이 아닌 비영리민간단체인 경우 대표자나 관리인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정부를 제1센터, 기업을 제2센터, 시민사회를 제3센터라고 부르고 있다. 4센터를 사회적 경제 영역이 최근 부상하고 있다. 여기에는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은 이윤을 이해관계자들에게 분배할수 있는 순수한 비영리와 구미국은 비영리부분, 자선단체, 면세부분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영국에서는 자원봉사, 프랑스는 연대경제, 유럽은 사회적 경제 등의 용어를 많이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NGO나 시민단체라는 용어가 더 친숙하다. 현대사회에서는 국가는 시민사회요구를 모두 충족 할 수 없다. 국가의 한정된 예산과 복잡한 법률과 절차 등에 의하여 상호간의 이익이 충돌하거나 대립할 수 있기 때문에 개개인의 이해를 충족시키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오늘날 경제적 문제는 단순히 물질적 결핍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쟁으로 인한 난민, 기후변화로 자연재해, 종교적 갈등, 경제적 빈곤 등에 특별히 교육, 연구, 환경 등에도 NGO의 역할이 필요하고 극빈자 및 구호 활동 및 옹호활동 한다. 여기에는 자발적이고 능동적 참여로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리는 개념적으로는 사회적 경제와 비영리를 구분하지만 추구하는 지향점이 비슷하다. 실체적으로는 경계가 모호한 것 같다. 모호한 것 같습니다. 지금은 정부, 기업, 시민사회 간에도 연결과 협력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잇다.

    그려면 NGO가 가지는 정의은 무엇일까 권력이나 종교 또는 이윤을 추구하지 않고 인간의 가치를 옹호하며 시민사회의 공익과 공공성을 지향하고 활동하는 것이다.